전체보기(48)
-
페르소나 구성 프로세스
위 포스터는 페르소나에 대해 일가견이 있는 덴마크인 Lene Nielsen의 페르소나 구성 프로세스를 러프하게 번역한 것으로 정확한 내용은 저자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바랍니다.
2016.09.20 -
모바일 터치조작 패턴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어떻게 쥐고/사용하는가] 우리는 모바일 기기 또는 그에 내장된 프로그램들을 디자인할 때 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호작용 특성/패턴/컨텍스트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합니다. 모바일 사용자들은 책상에 앉아서 사용하는 컴퓨터와 다르게 서있거나, 걸어다니거나, 움직이는 버스 등의 컨텍스트에서 모바일 기기를 쥐고/사용합니다. 연구자들은 오래 전부터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어떻게 쥐고/사용하는지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모바일 기기를 쥐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현재 대중화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와 차이가 있습니다. 현대의 모바일 기기는 이전과 다릅니다. 터치스크린이 대중화되면서 많은 것들이 바뀌었습니다. 모바일 기기 전면에 노출된 디..
2016.09.19 -
엘론머스크 & 테슬라 자동차
자동차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자동차는 기계의 느낌이 강합니다. 누구도 자동차를 디지털 기기의 한 종류로 보지않죠. 하지만 자동차를 하나하나 뜯어보면 사용자를 위한 섬세한 배려와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됩니다.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전기 자동차 회사 중 하나인 테슬라(Tesla Motors)에 대한 이야깁니다. 테슬라 하면 떠오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이 회사의 설립자인 엘론 머스크(Elon Musk)죠. 그리고 엘론 머스크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는 "테슬라(Tesla)", "스페이스엑스(Space X)", "솔라시티(Solar City)"와 같이 과거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볼 수 있던 제품 및 서비스들입니다. 아래의 링크에 엘론 머스크의 인터뷰가 담긴 동영상이 있습니다. "엘런 머스크(..
2016.09.19 -
직관의 힘
불확실한 환경, 직관의 힘이 중요해진다.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이 갈수 록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의 등장 등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기술이 발전되고 있고, 이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를 돌파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에 의존한 분석적인 사고만으로는 변화 의 파도 속에서 생존하기 어렵다. 데이터 전문 가인 페리치(Perlich)와 슈트(Schutt)는 최근 뉴욕 타임즈 기사에서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경험과 직관(intuition)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 하다.’라고 주장하며, 방대해져 가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는 데이터에만 매몰되지 않고 직관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역설했다.또한 ..
2016.09.19 -
AI 그리고 UX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위의 이미지는 해당 단어로 구글링 했을 경우의 검색결과입니다. 여러분도 아래의 검색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게 생각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인공지능의 범위와 정의는 분야 및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철학적으로는 아래의 내용과 같이 인공지능을 분류합니다. 철학적 관점의 인공지능초기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대표적인 정의는 Dartmouth Conference에서 존 매카시가 제안한 것으로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 이다. 그러나 이 정의는 강한 인공지능에 대한 고려를 하지 못한 것 같다. 인공지능의 또다른 정의는 인공적인 장치들이 가지는 지능이다. 대부분 정의들이 인간처럼 사고하는 ..
2016.09.19 -
집단의 발달
집단/조직/팀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UX분야는 유난히도 다양한 분야(디자인, 인문학, 공학 등)에 걸쳐진 사람들이 집단을 이루고, 협업하며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런 집단의 특색으로 인해 구성원간 다양한 문제(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하고 집단에 쉽사리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인간은 집단 및 사회와 같은 환경을 떠나서 살아갈 수 없습니다. 그리고 개인의 의지/특성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이며, 그렇기 때문에 개인을 둘러싼 집단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많은 조직에서 집단 구성원 자체보다 그들을 둘러싼 환경에 변화를 주고 이를 통해 구성원을 변화시키려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
2016.09.19